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대장암 원인 증상 합병증 예방 정리
    건강 2023. 9. 16. 20:00
    728x90
    반응형
    SMALL
    흰티를 입고 상복부를 안고 움추리고 있는 남성
    대장암의 원인

    대장암은 대장 또는 직장 내에서 악성 종양이 발생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대장은 소화 과정의 일부로 대장 내의 음식물의 수분을 흡수하고 배설물을 형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대장은 크게 큰 장(결장)과 작은 장(흡수 및 소화를 돕는 부분)으로 나뉘며, 이들 중 대부분의 대장암은 큰 장에서 발생합니다, 대장암은 주로 50세 이상의 노인에서 더 흔하게 발생합니다.가족 중에서 대장암이 발생한 경우나 유전적 변이는 개인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폴립과 염증성 장질환: 결절(폴립) 또는 염증성 장질환(궤양성 대장염 또는 크론병)이 있는 경우 발생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고지방, 저섬유질 식습관: 고지방, 저섬유질 식사를 오랫동안 유지하면 대장암 발병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비만은 대장암의 위험 요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흡연과 과도한 음주는 대장암 발병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과도한 염류소비는 대장암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증상

    변동적인 변비나 지속적인 설사를 경험할 수 있으며, 변 조절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변기로 가기 전에 충분한 간격으로 배변을 해야하는 등 일반적인 배변 습관의 변화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대장암이 진행될 때 변에 피나 점액이 섞일 수 있습니다. 복부 불편함 또는 통증이 나타날 수 있으며, 통증의 위치는 종종 대장암의 위치와 관련이 있습니다. 갑작스런 체중 감소 또는 무력감이 나타날 수 있으며, 지속적인 피로감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대장암의 초기 증상은 흔히 무증상이거나 경미한 증상일 수 있습니다.**

    합병증
    1. 장 평활근종 성 종양 (LST): LST는 종양이나 폴립으로서 악성 전환 가능성을 내포하며, 대장암의 초기 단계로 간주됩니다.
    2. 장폐색: 종종 악성 대장암이 큰 장 폐색을 일으킬 수 있으며, 심각한 복통과 복부 팽만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대장출혈: 대장암 종양이 혈관에 침범하거나 깊이 침투할 때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장 출혈은 볼빈과 같은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혈액 손실이 심할 경우 빈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대장 폐색: 대장암이 큰 종양으로 인해 장의 통과를 막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변비, 복부 부풀음, 복통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드물지만 대장암 종양이 장벽을 꿰뚫고 끼워서 장 폐색이나 복강 내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5. 전이성 대장암: 대장암이 다른 장기로 확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간, 폐, 뇌 등 다른 장기에 암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6. 저영양증: 대장암으로 인한 식욕 감소, 소화 문제 및 흡수 문제로 인해 저영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7. 성매개감염의 심화: 대장암 환자 중 일부는 면역력 저하로 인해 성매개감염의 심화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예방법
    1. 스크리닝 검사: 정기적인 대장암 스크리닝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대장내시경, 항문 검사, 변염 검사 등이 있으며, 이러한 검사를 통해 조기에 대장암을 발견하고 치료할 수 있습니다.
    2. 세균 검사와 결정체 조영종검사 등 정기적인 검진을 받으세요.
    3. 건강한 식습관 유지: 고섬유질 식단,낮은 지방, 과일, 야채를 다량으로 포함하는 건강한 식습관 섭취와 과다 체중 관리를 통해 예방합니다.
    4. 정기적인 운동: 정기적으로 신체 활동량을 유지하고 걷기, 조깅 등 육체 활동을 꾸준하게 합니다.
    5. 가족력 확인: 가족력을 확인하고, 대장암과 관련된 가족력이 있는 경우 의사와 상담하세요.
    6. 흡연과 음주 피하기: 흡연과 과도한 음주를 피하거나 줄이세요.
    정리

    대장암은 초기 단계에서도 치료 가능하기 때문에  조기 발견과 예방을 통해 치료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는 질환입니다. 정기적인 검진과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여 개별 예방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며, 위험 요인을 줄이고 스크리닝 검사를 받아 정기적으로 건강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일 어떤 증상이 나타난다면 의료진과 상담하여 조속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
Designed by Tistory.